[코치가 반드시 읽어야 할 아티클] A closer look into the black box of coaching linguistic research into the local effectiveness of coaching with the help of conversation analysis

이 논문은 코칭의 '블랙박스', 즉 구체적인 대화를 탐구하고 이 분야의 시급한 연구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대화분석(CA)을 이론적으로 소개했다. 대화분석은 코칭의 순차적으로 조직된 대화 구조와 코치 및 클라이언트의 담화 관행을 문서화하고 연구하기 위한 엄격하고 체계적이며 투명한 정성적 방법을 제시했다.

한국코칭신문 승인 2024.06.14 14:55 | 최종 수정 2024.10.28 10:11 의견 0

출처 : GPT-4o

■ 논문 요약

이 논문은 코칭의 '블랙박스', 즉 구체적인 대화를 탐구하고 이 분야의 시급한 연구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대화분석(CA)을 이론적으로 소개했다. 대화분석은 코칭의 순차적으로 조직된 대화 구조와 코치 및 클라이언트의 담화 관행을 문서화하고 연구하기 위한 엄격하고 체계적이며 투명한 정성적 방법을 제시했다.

대화분석의 분석력은 변화를 유도하는 관행을 식별하고 이러한 관행이 코칭의 국소적 효과성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상세히 설명하는 데 있다. 그 사례로 코치의 질문, 클라이언트의 응답, 코치의 3차 위치에서의 반응으로 구성되는 순차적 설정에서 변혁적 힘이 나타나는 질문 관행을 들 수 있다.

저자들은 대화분석을 사용하여 코칭에서 질문의 (비)성공적 처리를 예시적으로 분석했다. 두 개의 데이터 발췌는 진행 중인 프로젝트 '코칭에서의 질문 시퀀스'에서 비롯되었다. 이 논문은 주로 이론적 관점에서 코칭의 '블랙박스'를 언어학적으로 풀어내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한편, 코치가 개입(예: 질문)을 국소적으로 일어나는 클라이언트와의 차례로 상호작용 속에 내재된 것으로 고려하도록 실무자들의 감수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했다.

■ 서론

이 논문의 서론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었다:

코칭 대화는 클라이언트의 변화를 지원하기 위한 주요 수단이자 방법이며, 클라이언트의 변화는 구체적인 대화의 미시적 수준에서 가시적이고 관찰 가능하게 된다. 코치와 클라이언트의 대화는 코칭의 질과 성공, 즉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 이러한 코치-클라이언트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학자들은 코칭 대화 자체, 즉 코칭의 '블랙박스'에 대한 심층 연구를 요구해 왔다.

언어학적 코칭 프로세스 연구(LCPR)는 최근 등장했기 때문에 아직 주요 연구 격차가 존재한다. 특히 순간순간 코칭 대화의 공동 구성이 클라이언트 변화에 기여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대화분석(CA)은 이러한 두드러진 연구 격차를 해결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AI 챗봇 코치 어시스턴트를 인간 대 인간 코칭 개입에 포함시키는 것이 인간 코치와 클라이언트 간의 워킹 얼라이언스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코치와 클라이언트의 관계에 AI가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면 하이브리드 휴먼-AI-챗봇의 효과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 본론

본 논문의 본론은 대화분석의 소개, 코칭에서의 대화분석의 적용, 대화분석을 통한 코칭의 국소적 효과성 분석, 그리고 예시 분석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대화분석의 기본 가정, 목표, 방법론적 절차를 소개했다. 대화분석은 참여자들이 대화에서 사용하는 조직 원칙과 언어적 자원, 의사소통 과제 해결을 위해 사용하는 관행, 상호 이해 구축 방식 등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음으로 대화분석이 코칭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바를 설명했다. 대화분석을 통해 코칭 특유의 행위, 주제, 의미, 상호 이해의 국소적이고 과정적인 공동 구성을 문서화하고 검토할 수 있다. 또한 개입(예: 질문)이 코치와 클라이언트에 의해 이해되고 처리되는 방식을 추적할 수 있다.

이어서 대화분석이 코칭의 국소적 효과성, 즉 클라이언트의 점진적 변화를 분석하는 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이론적으로 설명했다. 특히 질문에 초점을 맞춰, 변화를 유도하는 잠재력을 지닌 '변혁적 시퀀스'의 개념을 도입했다.

마지막으로 실제 코칭 데이터에서 질문 시퀀스의 (비)성공적 처리에 대한 예시 분석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코치와 클라이언트가 질문을 통해 어떻게 변화를 공동 구성해 나가는지, 그리고 상호작용상의 문제가 어떻게 나타나고 해결되는지를 보여주었다.

■ 결론 및 시사점

이 연구는 대화분석이 코칭의 '블랙박스', 즉 코칭 프로세스와 상호작용의 미시적 수준에서 일어나는 국소적 전개 과정을 심층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유망한 언어학적 방법론임을 설명하고 입증했다. 언어학적 변화 과정 연구에서 대화분석은 코치와 클라이언트가 특정 담화 관행(예: 질문)을 통해 변화를 대화적으로 공동 구성하는 방식을 꼼꼼히 추적할 수 있는 분석적으로 건전한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코치의 행위가 대화의 구조 안에서 선행하고 후속하는 기여와 연결되는 '변혁적 시퀀스'에서 변화의 대화적 매개체가 관찰 가능해진다. 대화분석 연구는 한편으로는 상호작용의 메커니즘이 코치와 클라이언트의 제도적 과제를 수행하는 데 어떻게 적응되는지를 보여주고, 다른 한편으로는 클라이언트의 행동적, 인지적, 정서적 학습 과정이 코치-클라이언트 상호작용의 작은 청크와 큰 청크를 통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대화분석이 코칭 연구자와 실무자 모두에게 코칭 과정과 코칭 개입의 효과성을 탐구하는 데 있어 이중의 이점을 제공함을 강조했다. 또한 코치가 개입(예: 질문)을 클라이언트와의 국소적으로 전개되는 상호작용 속에 내재된 것으로 고려하도록 실무자들의 인식을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저작권자 ⓒ 한국코칭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