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전체 메뉴
전체 메뉴
뉴스
코칭 심리학
디지털 인사이트
코칭 아카데미
팀코칭
DT코칭
그룹코칭
성과코칭
기타코칭
코칭 도구와 기법
코칭교육정보
칼럼
DTL진단
북코너
뉴스
코칭 심리학
디지털 인사이트
코칭 아카데미
팀코칭
DT코칭
그룹코칭
성과코칭
기타코칭
코칭 도구와 기법
코칭교육정보
칼럼
DTL진단
북코너
전체 기사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뉴스
코칭 심리학
디지털 인사이트
코칭 아카데미
코칭 도구와 기법
코칭교육정보
칼럼
DTL진단
북코너
한국코칭신문 소개
기사제보
광고문의
불편신고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Home
코칭 심리학
코칭 심리학
다음
이전
코칭 심리학
[코치가 반드시 알아야 할 코칭Theory] 학습이론(Learning Theory) Part 2
3. 성인학습이론(Adult Learning Theory): Malcolm Knowles가 제안한 안드라고지(Andragogy)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다. 성인 학습자는 자기주도적(Self-Directed)이며,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있고,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지식을 선호한다. Malcolm Knowles의 성인학습이
한국코칭신문
2024.12.11 13:59
코칭 심리학
[코치가 반드시 알아야 할 코칭Theory] 학습이론(Learning Theory) Part 1
1. 경험학습이론(Experiential Learning Theory): David Kolb가 제안한 이론으로, 학습자는 구체적인 경험(Concrete Experience)을 통해 배우고, 그 경험을 반성적 관찰(Reflective Observation)하며, 추상적 개념화(Abstract Conceptualization
한국코칭신문
2024.12.11 13:59
코칭 심리학
[코치가 반드시 알아야 할 코칭Theory] 조직변화 이론(Organizational Change Theory) Part 4
6. 변화 리더십(Change leadership): 조직 변화를 주도하고 관리하는 리더의 역할이 중요하다. 변화 리더는 비전 제시, 동기 부여, 자원 확보, 갈등 관리 등의 역량을 발휘한다. 변화 리더십(Change leadership)은 조직 변화를 성공적으로 이끌어가는 데 필수적인 리더의 역량과 행동을 의미한다.
한국코칭신문
2024.12.05 22:03
코칭 심리학
[코치가 반드시 알아야 할 코칭Theory] 조직변화 이론(Organizational Change Theory) Part 3
4. 변화에 대한 저항(Resistance to change): 조직 구성원들은 변화에 대해 저항할 수 있다. 이는 불확실성, 기득권 상실, 습관 등에 기인한다. 효과적인 변화 관리를 위해서는 저항을 이해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변화에 대한 저항(Resistance to change)은 조직 변화 과정에서 구성원들
한국코칭신문
2024.12.05 22:03
코칭 심리학
[코치가 반드시 알아야 할 코칭Theory] 학습이론(Learning Theory) Part 3
5. 인지적 도제이론(Cognitive Apprenticeship Theory): Collins, Brown, Newman이 제안한 이론으로, 전문가의 인지 과정을 모델링하고 점진적으로 학습자에게 책임을 이양하는 방식으로 학습이 이루어진다. Collins, Brown, Newman이 제안한 인지적 도제이론(Cogniti
한국코칭신문
2024.12.02 21:24
코칭 심리학
[코치가 반드시 알아야 할 코칭Theory] 조직변화 이론(Organizational Change Theory) Part 2
2. 변화의 유형(Types of change): 조직 변화는 점진적 변화(incremental change)와 급진적 변화(radical change)로 구분될 수 있다. 점진적 변화는 작고 연속적인 변화인 반면, 급진적 변화는 크고 혁신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변화의 유형(Types of change)은 조직 변화의
한국코칭신문
2024.11.22 23:13
코칭 심리학
[코치가 반드시 알아야 할 코칭Theory] 조직변화 이론(Organizational Change Theory) Part 1
조직변화 이론의 핵심 개념으로는 “변화 원인(Change drivers): 조직 변화를 촉발하는 내외부 요인을 의미한다.”, “변화 유형(Types of change): 변화의 속도, 범위, 깊이에 따라 구분되는 변화의 유형을 나타낸다.”,“ 변화 과정(Change process): 변화가 진행되는 단계와 절차를 설명한다
한국코칭신문
2024.11.22 23:13
코칭 심리학
[코치가 반드시 알아야 할 코칭Theory] 집단역학 이론(Group Dynamics Theory) Part 4
집단역학 이론(Group Dynamics Theory)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은 다음과 같다. 1. 과업 수행(Task performance): 집단이 주어진 과업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수행하는지를 나타내는 변인이다. 2. 사회적 관계(Social relations): 집단 구성원들 간의 대인관계, 친밀도, 신뢰 등을
한국코칭신문
2024.11.15 13:55
코칭 심리학
[코치가 반드시 알아야 할 코칭Theory] 집단역학 이론(Group Dynamics Theory) Part 3
5. 집단 의사결정(Group decision-making): 집단이 문제를 해결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과정을 설명한다. 집단 사고(groupthink), 다수결, 합의 등의 개념이 포함된다. 집단 의사결정(Group decision-making)은 집단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중요한 선택을 내리는 과정을 의미한다.
한국코칭신문
2024.11.15 13:55
코칭 심리학
[코치가 반드시 알아야 할 코칭Theory] 집단역학 이론(Group Dynamics Theory) Part 2
3. 집단 규범(Group norms): 집단 내에서 기대되는 행동, 가치관, 태도 등을 나타낸다. 규범은 명시적이거나 암묵적일 수 있으며, 집단의 행동을 통제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집단 규범(Group norms)은 집단 내에서 구성원들이 지켜야 할 행동 기준, 가치관, 태도 등을 의미한다. 이는 집단의 정체성과
한국코칭신문
2024.11.15 13:55
코칭 심리학
[코치가 반드시 알아야 할 코칭Theory] 집단역학 이론(Group Dynamics Theory) Part 1
1. 집단 형성(Group formation): 집단은 공통의 목표, 관심사, 특성을 공유하는 개인들이 모여 형성된다. Tuckman의 집단 발달 단계 모델(forming, storming, norming, performing, adjourning)은 집단 형성 과정을 설명한다. 집단 형성(Group formation)
한국코칭신문
2024.10.29 08:35
코칭 심리학
[코치가 반드시 알아야 할 코칭Theory] 대화분석 이론(Conversation Analysis Theory) Part 3
5. 순서 조직(Sequential organization): 대화에서 선행 발화가 후행 발화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특성을 나타낸다. 순서 조직(Sequential organization)은 대화에서 발화들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방식과 그 구조적 특성을 의미한다. 대화에서 선행 발화는 후행 발화의 내용, 형식, 해석에
한국코칭신문
2024.10.28 09:31
코칭 심리학
[코치가 반드시 알아야 할 코칭Theory] 대화분석 이론(Conversation Analysis Theory) Part 2
3. 선호 구조(Preference organization): 인접쌍의 두 번째 발화에서 선호되는 응답과 선호되지 않는 응답의 구조를 의미한다. 선호 구조(Preference organization)는 인접쌍의 두 번째 발화에서 나타나는 응답의 유형과 관련된 개념이다. 대화 참여자들은 특정한 상황에서 선호되는 응답과 선
한국코칭신문
2024.10.28 09:30
코칭 심리학
[코치가 반드시 알아야 할 코칭Theory] 대화분석 이론(Conversation Analysis Theory) Part 1
대화분석 이론(Conversation Analysis Theory)의 핵심 개념과 하위 변인, 주요 학자 및 관련 논문은 다음과 같다: 핵심 개념: 1. 대화 순서 교대(Turn-taking): 대화 참여자들이 말할 순서를 교대하며 이루어지는 체계적인 과정이다. 대화 순서 교대(Turn-taking)는 대화분석
한국코칭신문
2024.10.28 09:30
코칭 심리학
[코치가 반드시 알아야 할 코칭Theory] 자아개념 이론(Self-Concept Theory) Part 4
자아개념 이론은 코칭 실무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이 이론은 코치가 내담자의 자기 이해를 돕고, 긍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하도록 지원하며, 내담자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한 통찰을 제공한다. 코치가 코칭 행위를 할 때 자아개념 이론을 기반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코칭신문
2024.10.23 17:59
코칭 심리학
[코치가 반드시 알아야 할 코칭Theory] 자아개념 이론(Self-Concept Theory) Part 3
4. Emotional self-concept(정서적 자아개념): 자신의 정서 상태와 정서 조절 능력에 대한 지각과 평가다. 정서적 자아개념(Emotional self-concept)은 개인이 자신의 정서적 특성, 정서 경험, 정서 조절 능력 등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 감정, 평가를 의미한다. 이는 자아개념의 하위
한국코칭신문
2024.10.23 17:59
코칭 심리학
[코치가 반드시 알아야 할 코칭Theory] 자아개념 이론(Self-Concept Theory) Part 2
2. Social self-concept(사회적 자아개념): 대인 관계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자신에 대한 지각과 평가다. 사회적 자아개념(Social self-concept)은 개인이 대인 관계 및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자신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 감정, 평가를 의미한다. 이는 자아개념의 하위 요소 중 하나로,
한국코칭신문
2024.10.23 17:56
코칭 심리학
[코치가 반드시 알아야 할 코칭Theory] 자아개념 이론(Self-Concept Theory) Part 1
자아개념 이론(Self-Concept Theory)은 개인이 자신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 태도, 감정의 총체를 의미한다. 이 이론은 자아개념(self-concept)이 개인의 행동과 동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한다. 자아개념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1. 다차원적(multidimensional):
한국코칭신문
2024.10.23 11:10
1
|
2
|
3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