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경제학 이론은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발전되었지만, 대표적으로 Daniel Kahneman(다니엘 카너먼)과 Amos Tversky(에이모스 트베르스키)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들은 1979년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라는 논문에서 전망이론(Prospect Theory)을 제안하며, 행동경제학의 기초를 마련했다. 이후 Richard Thaler(리처드 탈러)가 "Nudge: Improving Decisions about Health, Wealth, and Happiness"라는 책을 통해 행동경제학 개념을 대중화했다.
행동경제학과 관련된 주요 논문은 다음과 같다:
⦁Kahneman, D., & Tversky, A. (1979).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 Econometrica, 47(2), 263-292.
⦁Thaler, R. H., & Sunstein, C. R. (2009). Nudge: Improving decisions about health, wealth, and happiness. Penguin.
⦁Ariely, D. (2008). Predictably irrational: The hidden forces that shape our decisions. HarperCollins.
행동경제학 이론의 주요 개념은 다음과 같다:
1. 제한된 합리성(Bounded Rationality): 인간은 완벽한 정보와 무한한 인지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최적의 의사결정을 내리기 어렵다는 개념이다.
제한된 합리성(Bounded Rationality)은 인간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완벽한 합리성을 가정하는 전통적인 경제학 모델의 한계를 지적하는 개념이다. 현실에서 인간은 정보의 부족, 인지 능력의 한계, 시간 제약 등으로 인해 항상 최적의 의사결정을 내리기 어렵다. 제한된 합리성은 인간이 합리적으로 행동하려 하지만, 현실적인 제약 조건 속에서 '만족할 만한' 수준의 의사결정을 내린다는 점을 강조한다.
제한된 합리성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정보의 불완전성(Incomplete Information): 인간은 의사결정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획득 하기 어렵고, 불완전한 정보를 바탕으로 판단을 내린다.
② 인지적 한계(Cognitive Limitations): 인간의 인지 능력은 제한되어 있어, 복잡한 문제를 완벽하게 분석하고 평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③ 시간 제약(Time Constraints): 의사결정은 주어진 시간 내에 이루어져야 하므로, 모든 대 안을 탐색하고 평가할 수 없다.
④ 만족 기준(Satisficing): 인간은 최적의 대안을 찾기보다는, 일정 수준 이상의 만족을 주는 대안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제한된 합리성은 허버트 사이먼(Herbert A. Simon)이 1950년대에 처음 제안한 개념으로, 그의 저서 "Administrative Behavior: A Study of Decision-Making Processes in Administrative Organizations"에서 자세히 다루어졌다. 이후 많은 연구자들이 제한된 합리성 개념을 확장하고 발전시켰다.
코칭에서 제한된 합리성 개념은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① 의사결정 지원: 코치는 클라이언트가 의사결정 과정에서 직면하는 제한된 합리성의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치는 클라이언트가 정보를 수집하고 평가하는 방법을 개선하도록 돕거나, 의사결정에 필요한 시간과 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② 현실적인 목표 설정: 제한된 합리성을 고려할 때,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목표가 현실적으로 달성 가능한지 평가할 필요가 있다. 코치는 클라이언트와 함께 목표를 검토하고, 필요한 경우 목표를 조정하여 클라이언트가 성취감을 느끼고 지속적으로 동기부여 받을 수 있도록 돕는다.
③ 대안 탐색 및 평가: 코치는 클라이언트가 의사결정 과정에서 다양한 대안을 탐색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때, 제한된 합리성을 고려하여 현실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대안의 범위를 설정하고, 각 대안의 장단점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돕는다.
④ 만족 기준 설정: 코치는 클라이언트가 의사결정에서 만족 기준을 명확히 설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는 클라이언트가 제한된 합리성 속에서도 적절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제한된 합리성 개념은 코칭에서 클라이언트의 의사결정 과정을 이해하고 지원하는 데 중요한 바탕이 된다. 코치는 이 개념을 활용하여 클라이언트가 현실적인 제약 조건 속에서도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저작권자 ⓒ 한국코칭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