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DALL-E
부정적인 뇌의 속삭임에 속지 마라! 부정 박스 (Negative Box)
인간의 뇌는 생각의 힘을 받아들이고, 정리하고, 특별하게 만들어서 표출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따라서 누군가가 자신의 뇌를 긍정적이고 창조적인 생각을 표출하는 데 사용하지 않으면, 자연스레 부정적인 생각을 떠올리도록 유도해 뇌의 공간을 채워 넣는다고 한다.
1996년 미국 경영학자 “개리해멀(Gary Hamel)”과 경제학자 “프라할라드(Prahalad)”는 원숭이를 이용해 재미있는 실험을 했다. 우리 안에 몇 마리의 원숭이 넣고 천장에 달콤한 바나나를 매달아 놓은 것이다. 원숭이들은 충분히 천장으로 이동해 바나나를 먹을 수 있는 조건이었고, 굶주려 있었다. 바나나를 보자마자 원숭이들은 천장으로 이동했다. 그런데 그때마다 원숭이 들에게 소방 호수로 차가운 물세례를 퍼부었던 것이다. 당황한 원숭이들은 한 번, 두 번 시도를 하다가 결국 포기하고 말았다. 그리고 단 한 마리도 천장에 매달려 있는 바나나를 탐하지 않았다. 물세례를 맞고 싶지 않았던 것이다.
얼마 후 무리 중 한 마리의 원숭이를 빼고 새로운 원숭이를 우리 속에 넣었다. 배가 고팠던 신입 원숭이는 천장에 매달려 있는 바나나를 보자 눈치를 잠시 보더니 올라가려고 시도했다. 그러자 기존 무리의 우두머리 원숭이는 새로 들어온 원숭이의 행동을 제재했던 것이다. 마치 “저 바나나를 먹으러 올라가면 차가운 물세례를 맞는다”고 경고 하듯이 말이다. 결국 신입 원숭이도 천장에 매달린 바나나를 포기하게 되었다. 한 마리, 두 마리 원숭이를 교체할 때 마다 이 현상은 반복되었다.
결국 모든 원숭이들은 교체되었고, 재미있는 현상이 벌어졌다. 실제로 물세례를 맞거나 그것을 본 원숭이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어느 원숭이도 천장의 바나나를 탐하지 않았던 것이다. 원숭이들의 나쁜 경험이 “경험박스”를 만들어 내고, 이것이 만성화 되어 원숭이 무리 전체에 “부정박스”를 만들어 낸 것이다. 한마디로 조직의 만성화된 부정적 태도와 무기력이 얼마나 무서운 결과를 만들어 내는지 보여주는 실험이었다.
여러분들은 하루 동안 몇 퍼센트 정도의 긍정적인 생각을 하는가? 결과는 생각보다 참혹하다. 우리의 뇌는 하루에 단지 17% 정도만 긍정적인 말을 하고, 또 듣는다고 한다. 하루에 83%를 부정적인 말을 하거나 듣는데 사용한다니 어처구니없다. 하지만 사실이라고 학자들은 말한다. 결국 내 머릿속의 부정적인 생각들이 “부정박스”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편견을 깨고 기존의 틀을 바꿔라! 수평적 사고기법
“고정관념”이라는 단어를 모르는 사람은 없다. 단지 어디서 생겨나는 것인지 인지하지 못할 뿐이다. 많은 사람들은 고정관념을 깨는 것이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지름길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어떻게 깨야할지 잘 모른다. 자, 지금부터 고정관념이 어떻게 생겨나는지, 그리고 어떻게 깨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인간의 뇌는 어처구니없이 게으른 존재이다. 자신이 편한 대로 생각하고 다양한 정보를 본인 뜻대로 일반화 시키는 나쁜 버릇을 가지고 있다. 이것을 학자들은 “자기 조직화이론(Theory of Self-organization)”이라고 부른다. 우리의 두뇌는 경험과 지식을 통해 형성된 채널로 세상을 바라본다. 그래서 어떤 패턴에 따라 정보화가 스스로 조직된다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지금까지 살펴본 세 가지의 대표적인 박스가 “고정관념”으로 고착화되는 것이다.
영국의 창의력 대가인 "에드워드 드보노(Edward de Bono)" 박사는 이러한 고정관념을 깨는데 “수평적 사고 기법”을 활용하라고 말한다. 기존 인식의 틀, 생각의 틀, 채널을 깨는 적극적 사고 행위가 “수평적 사고”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수직적 사고”와 “수평적 사고”는 어떻게 다른 것일까? “수직적 사고”는 기존의 지식과 경험으로 판단, 평가, 분석하는 사고이다. 우리가 평소에 하는 일반적인 사고 행위가 이것이다. 단지 “예스/노”가 중요하며 판단과 이분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수평적 사고”는 “예스/노”가 아닌 “개발과 수정”을 중시하고 “창조와 변화”에 더 큰 비중을 둔다. 예를 들어 “자동차에 바퀴가 없다”는 말에 “수직적 사고”는 “틀렸다”라고 단정 지을 수 있지만 “수평적 사고”에서는 “그럴 수도 있다”가 되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두뇌의 자기조직화 시스템하에서 입력된 정보는 고정화된 패턴을 형성한다. 이것을 깨뜨리고 기존 개념과 인식을 변화시키는 사고기법이 “수평적 사고”인 셈이다. 쉽게 말해 “생각의 틀”을 깨는 것이다.
그렇다면 편견을 깨고 기존의 틀을 바꾸기 위한 수평적 사고를 잘하려면 무엇을 하면 좋을까? 심리학자 카프만(Kauffman)은 자신의 연구에서 자존감이 높은 사람들은 긍정적 성향이 강하다고 했다. 부정적 분위기에서 긍정적인 사고나 생각을 한다는 것이다. “자존감(Self-esteem)"이란 말 그대로 자신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마음이다. 자신의 능력과 한계에 대한 생각이며, 일종의 자기 확신으로 스스로 가치 있는 존재라는 믿음이다. 다시 말해 어떤 성과를 이루어낼 만한 유능한 사람이라고 믿는 마음이다. 자존감이 잘 형성된 사람은 자신을 소중히 여기고 타인과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 한다. 이를 통해 인생의 역경을 잘 극복하며 유연하게 대처 한다는 것이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들은 부정적 사건을 경험했을 때 자신에 대한 영향력을 최소화하는 능동적인 전략을 취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무한 긍정의 힘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자기 인생의 주인은 자신이라는 굳건한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수평적 사고를 잘 할수밖에 없다. 자신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서 모든 일에 적극적이기 때문이다. 자신의 인생에 비전이 있고 꿈을 향해 항상 전진한다. 도전하는 것을 좋아하고, 두려움을 피하지 않는다. 정성을 다해 맞이하고 대응한다. 그래서 자존감은 무한 긍정의 힘을 만들어 내며, 수평적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치들은 코치이의 부정적 사고와 감정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를 긍정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코치이가 자신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믿고 발휘할 수 있게 격려하고 지지하는 한편, 부정적 경험과 실패를 성장의 기회로 삼을 수 있는 마인드셋을 함양하도록 이끌어야 한다.
둘째, 코칭 과정에서 코치이의 고정관념과 편견을 깨뜨리고 유연한 사고를 촉진하기 위해 '수평적 사고 기법'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기존의 틀에 얽매이지 않고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모색할 수 있도록 발문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에 접근할 수 있게 안내해야 한다.
셋째, 코칭 업계는 코치들의 자존감과 긍정적 마인드를 강화하기 위한 교육과 훈련에 힘써야 한다. 코치 스스로가 높은 자존감을 바탕으로 무한 긍정의 힘을 발휘할 때 비로소 코치이의 변화와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음을 인지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오상진교수는 프로그램 개발자 출신의 경영학자이다.
그는 통계학을 전공한 뒤 1997년 삼성SDS에서 컴퓨터 프로그래머로 그의 커리어를 시작했다. 이후 디지털이라는 개념이 모호한 2000년대 초반 삼성미술관에서 디지털 콘텐츠개발을 했으며, 삼성인력개발원에서 삼성그룹의 HR전문가로 성장해 갔다. 이후 제일기획에서 창의, 혁신의 분야에 매진하며 창의적 인재의 육성과 창의적 조직에 대한 전문 역량을 키워 나갔다. 약 19년간의 조직생활을 마감하고 지금은 국내 최초 경영전문대학원인 서울과학종합대학원의 경영학과 교수를 거처 경희대학교 국제대학원 인적자원경영 MBA과정 주임교수로 있으며, 강의와 KCI 등재논문이 41편으로 다양한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그의 이력은 독특하다. 통계학 전공을 기반으로 학교에서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삼성그룹에서의 HR전문역량을 바탕으로 기업의 리더와 조직구성원에게 필요한 역량에 관심이 많다. 제일기획에서의 창의, 혁신과 디지털 경험은 최근 기업에 화두인 AI와 블록체인 기술을 경영학의 관점에서 바라보며, 기업에 컨설팅과 강의를 병행하고 있다. 경영학자로서 그가 바라보는 세상은 조금 특별하다. 데이터와 기술을 기반으로 분석적 사고를 하고 있지만, 동시에 사람을 중심으로한 직관적 사고를 즐겨한다. 지금까지 그의 저서로는 “아웃오브박스”, “나는 왜 괜찮은 아이디어가 없을까”,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AI 리더십” 등이 있다.
현재 그는 한국코치협회 명예코치, 해군발전자문위원회 HR혁신분과위원, 재단법인 한국스마트농업연구원 이사이자 교육 및 인큐베이팅 센터장을 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