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A framework of modes of awareness for team coaching practice
팀 코칭 실천에서 주목해야 할 인식 모드(modes of awareness)
Joanne James, Sharon Mavin, Sandra Corlett (Newcastle University Business School)
초록
이 연구는 팀 코칭의 실천적 및 이론적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수행되었습니다. 연구진은 12개월간의 자기 민족지(autoethnographic) 연구를 통해 팀 코치가 실무에서 무엇을 하고, 어떻게 실행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시합니다. 팀 코칭 과정에서의 감각과 접근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 미시적 실천(micro-practices)을 탐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팀 코치들이 다각적인 관점을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 '인식 모드(modes of awareness)'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안합니다.
이 논문은 기존 팀 코칭 이론과 실무의 통합적 관점을 제시하며, 팀 코칭 실천에서 요구되는 고급 기술과 다차원적 사고를 지원하는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개발합니다. 이를 통해 팀 코치가 복잡하고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고, 팀 성과와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합니다.
배경코칭의 중요성과 성장
코칭은 조직에서 인적자원개발(HRD)을 위한 중요한 개입 방식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성과 향상, 목표 달성, 학습 촉진 등의 긍정적 효과를 목표로 합니다.
, 복잡한 조직 환경에서 팀이 공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하고 학습하는 과정에서 팀 코칭의 중요성이 강조됩니다.
연구의 한계부재
코칭의 정의가 일관되지 않고, 연구자마다 다르게 사용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들어, Jones et al. (2019)은 팀 코칭을 팀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간주하고 팀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과 발전을 도모하는 개입으로 정의하였습니다. 하지만 정의와 방법론이 일관되지 않아 혼란이 존재합니다.
연구 부족
코칭은 이론적으로 설명되거나 사례 연구로 보고되지만, 팀 코치가 실제로 무엇을 하고 어떤 방식을 사용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실증 연구는 부족합니다.
연구는 이론적 접근에 치우쳐 있으며, 코칭 과정에서 나타나는 실질적인 행동과 미시적 실천(micro-practices)을 탐구하지 않았습니다.
관점의 부족
연구는 주로 특정 관점이나 단일 이론적 틀을 사용하여 팀 코칭을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 팀 코칭은 다차원적이고 복잡한 실천이며, 다양한 관점을 통합적으로 고려해야만 효과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필요성코칭 실천의 세부적인 이해
코치가 현장에서 수행하는 구체적인 행동과 그 과정에서의 의사결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과정에서 코치가 여러 관점을 동시에 고려하고 복잡한 상호작용을 해석하는 방식에 주목해야 합니다.
프레임워크의 개발
코칭에 필요한 고급 기술과 다중 관점을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이 필요합니다.
통해 코치는 복잡한 상황에서 적절한 개입 전략을 선택하고 팀과의 협력 과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코칭의 학문적, 실무적 기여
코칭의 개념적 이해를 확장하고, 실무 현장에서 코치들이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도구와 방법론을 제공함으로써 팀 코칭의 학문적 발전과 실무적 적용 가능성을 동시에 강화하고자 합니다.
저작권자 ⓒ 한국코칭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