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논문 제목

이 논문은 "Conceptualizing the Distinctiveness of Team Coaching"이라는 제목으로, Rebecca J. Jones(Henley Business School, University of Reading), Uwe Napiersky(Aston Business School), Joanne Lyubovnikova(Management School, University of Liverpool)가 저술했습니다.

이 연구는 팀 코칭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이를 팀 훈련, 팀 개발, 팀 빌딩과 차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연구 결과, 팀 코칭은 팀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보고, 팀 전체의 학습과 반영을 통해 공통의 목표를 달성하도록 돕는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개입 방식으로 정의되었습니다. 신뢰 구축, 의사소통 촉진, 반영적 질문 등을 활용하여 팀의 문제를 해결하며, 코치의 고급 기술과 팀의 지속적인 학습 과정을 강조합니다. 특히 팀 빌딩이나 팀 개발과 달리 단발성 이벤트가 아닌 장기적이고 깊이 있는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팀의 성과와 협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 논문 초록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최근 각광받고 있는 팀 코칭의 개념화와 다른 팀 개입과의 차별점을 명확히 하는 것입니다. 연구 방법으로는 410명의 팀 코칭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으며, 실무 중심의 관점을 반영하기 위해 실천가들의 경험을 활용하는 귀납적 접근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수집된 데이터는 주제 분석을 통해 정리되었습니다.

분석 결과, 팀 코칭의 정의를 도출하는 데 있어 여덟 가지 주요 주제가 확인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팀 코칭과 다른 팀 개입 방식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팀 코칭이 팀의 공통 목표 달성, 성과 향상, 학습 및 반영 과정을 통해 팀의 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팀 코칭의 명확한 정의 부재로 인한 이론 개발과 실질적 연구의 어려움이 지적됩니다. 그러나 이 논문은 연구자와 실무자 모두가 활용할 수 있는 명확하고 포괄적인 팀 코칭 정의를 제공함으로써 이론적 발전과 실무 적용을 동시에 도모하고자 했습니다.

3. 연구 배경

현대 조직에서 팀은 성과를 높이는 핵심 구성 요소로 간주되며, 팀 전체가 학습하고 발전하는 능력은 팀의 효과성을 증진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최근에는 개인 중심의 학습 및 개발에서 벗어나 팀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접근 방식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팀 코칭은 가장 최근에 부상한 개입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팀 코칭은 최근 몇 년간 실무 현장에서 급격히 확산되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실무자 보고서와 실무 중심의 문헌들이 지속적으로 출간되고 있습니다. 특히 Worldwide Association of Business Coaches(2016)와 Hawkins(2011)의 연구가 대표적입니다. 그러나 팀 코칭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며, 팀 코칭의 정의나 개념이 명확히 정립되지 않아 이론 개발과 실질적 연구를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현재 팀 코칭은 기존의 팀 훈련, 팀 빌딩, 팀 개발과 중첩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명확한 정의와 개념화가 부족한 상태입니다. Lawrence와 Whyte(2017)가 지적했듯이, 이러한 모호성은 팀 코칭의 효과성과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를 방해하며, 조직이 팀 코칭을 도입할 때 무엇을 기대해야 하는지 명확히 알 수 없게 만듭니다. 따라서 팀 코칭의 정의와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은 이론적 발전과 실무 적용에 있어 필수적인 과제입니다.

기존 문헌에서는 팀 코칭을 주로 팀 리더의 행동 또는 리더십의 한 형태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Hackman and Wageman, 2005). 하지만 이러한 관점은 현재 실무에서 이루어지는 팀 코칭의 다양한 시나리오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합니다. 팀 코칭을 기존의 팀 훈련이나 팀 빌딩과 구별하려면, 팀 코칭의 고유한 메커니즘을 탐구하고 이를 뒷받침할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개발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연구는 팀 코칭을 보다 명확히 정의하고, 기존의 팀 학습 및 개발 개입 방식과의 차별성을 도출하여 이론적, 실무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통해 조직은 팀 코칭의 실제 효과와 이를 도입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결과를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팀 코칭의 명확한 정의와 개념화는 세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첫째,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고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할 수 있습니다. 둘째, 조직이 팀 코칭을 도입할 때 이를 다른 팀 개입 방식과 차별화하여 적절히 활용할 수 있습니다. 셋째, 팀 코칭이 어떻게 팀의 성과와 협력을 향상시키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