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연구 방법
이 연구는 팀 코칭의 정의와 차별성을 도출하기 위해 실천가들의 실무 경험을 중심으로 귀납적 접근을 채택했습니다. 이는 기존 문헌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론을 개발하며, 실무자들의 관점을 반영하여 새로운 정의를 도출하는 방식입니다.
연구에는 총 410명의 팀 코칭 전문가가 참여했습니다. 이들은 Association for Coaching, European Mentoring and Coaching Confederation, International Coaching Community 등 유럽 및 국제 코칭 단체에 소속된 실천가들로, 평균 11.24년의 코칭 경력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참여자 중 51.6%는 여성이었고, 56.1%가 석사 학위 이상을 보유했으며, 팀 코칭 실무 비율은 평균 29.63%, 연간 평균 6.68개의 팀 코칭 사례를 다뤘습니다.
데이터는 2016년 10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습니다. 설문은 "팀 코칭을 어떻게 정의하십니까?", "팀 코칭은 1:1 코칭과 어떻게 다릅니까?", "팀 코칭은 다른 팀 개발 개입과 어떻게 다릅니까?"와 같은 개방형 질문으로 구성되었으며, 사전 테스트를 통해 유효성과 타당성을 확인했습니다.
데이터 분석은 주제 분석 방법을 사용했으며, 두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코딩한 뒤 논의를 통해 주제를 통합하고 불일치한 주제를 조정했습니다. 이중 블라인드 접근을 통해 참여자 의견을 객관적으로 분석했으며, 원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석을 검증하여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했습니다.
연구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실증적 관점과 참여자의 경험을 반영하는 참여자 중심 관점을 채택했습니다. 다만, 팀 코칭 실무자만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양적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일반화와 효과성 검증에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5. 핵심 개념
팀 코칭은 팀 전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간주하여, 학습과 반영을 통해 팀의 공통 목표를 달성하도록 돕는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개입 방식입니다. 이는 팀 성과를 향상시키고, 팀원들 간 신뢰 구축, 의사소통 개선, 문제 해결 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주요 요소로는 공통 목표 달성, 팀 성과 향상, 팀 학습과 반영, 그리고 다양한 코칭 활동이 포함됩니다.
팀 코칭은 기존의 다른 팀 개입 방식들과 뚜렷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팀 훈련이 주로 특정 기술과 업무 능력 개발에 중점을 두는 공식적이고 단기적인 개입인 반면, 팀 빌딩은 팀원 간 관계 강화와 협력 촉진을 목표로 하는 단기적이고 이벤트 중심의 활동입니다. 팀 개발은 팀의 역학과 관계 형성을 비공식적으로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이에 비해 팀 코칭은 장기적 접근을 통해 팀의 복잡한 문제를 다루며 지속적인 변화를 목표로 하고, 코칭 기술을 활용하여 팀이 자체적으로 해결책을 도출하도록 유도합니다.
연구에서 도출된 팀 코칭의 주요 주제는 크게 네 가지입니다. 첫째, 공통 목표로, 팀의 모든 활동이 공동의 목표를 향하도록 초점을 맞추고 팀원들이 상호 의존적 관계를 형성하도록 돕습니다. 둘째, 팀 성과로, 단순한 개별 노력의 합을 넘어서는 시너지를 발휘하도록 합니다. 셋째, 팀 학습과 반영을 통해 팀원들이 자기 성찰과 피드백을 통해 학습하도록 합니다. 넷째, 코칭 활동으로, 신뢰 구축, 의사소통 개선, 문제 해결 역량 향상, 관계 강화 등을 포함합니다.
팀 코칭은 기존의 1:1 코칭보다 더 고급 기술이 요구됩니다. 코치는 복잡한 팀 동역학을 관리하고, 팀원 간 신뢰를 형성하며, 팀 과정과 팀워크를 이해하고 조율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팀 코칭의 또 다른 특징은 장기적 특성입니다. 이는 단기적 이벤트가 아니라 팀의 성과와 협력 방식을 지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며, 지속적인 세션을 통해 팀의 행동 변화 및 성과 개선을 지원합니다.
마지막으로, 팀 코칭은 팀 전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간주하는 시스템 관점을 취합니다. 이는 팀원 개개인의 성과나 능력을 넘어, 팀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과 시스템적 관계를 중시하며, 궁극적으로 팀 시스템 전체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