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Hackman과 Wageman의 팀 코칭 이론(2005)을 기반으로, 대만의 첨단 기술 산업 내 137개의 연구개발(R&D) 팀을 대상으로 팀 코칭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입니다. 연구 결과, 팀 코칭의 주요 기능(동기부여, 상담, 교육)이 팀의 노력과 기술/지식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팀 효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습니다. 구조방정식 모델(SEM) 분석을 통해 팀의 전략적 노력과 지식 공유가 효과적인 팀 성과를 도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특히 팀 코칭은 팀원들이 적절한 전략을 사용하도록 돕는 데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팀원들의 노력과 기술/지식이 전략적 의사결정 과정에 기여한다는 간접적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 본 연구는 팀 리더의 코칭 행동이 팀의 상호작용과 성과 프로세스를 강화하는 데 핵심적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팀의 다양성과 구성원의 역할 분배, 그리고 조직적 지원의 중요성을 논의합니다.

1. 논문 제목

이 논문은 "Disseminating the Functions of Team Coaching Regarding Research and Development Team Effectiveness: Evidence from High-Tech Industries in Taiwan"(팀 코칭 기능의 확산과 연구개발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대만의 첨단 기술 산업 사례 연구)이라는 제목의 연구입니다.

2. 논문 초록

이 연구는 Hackman과 Wageman(2005)의 팀 코칭 이론을 검증하기 위해 대만의 첨단 기술 산업에서 137개의 연구개발(R&D) 팀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습니다.

구조방정식 모델(SEM) 분석 결과, 팀 코칭의 세 가지 주요 기능인 동기부여, 상담, 교육이 팀 성과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팀의 노력 및 기술/지식 수준이 직접적으로 향상되어 팀 효과성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또한 팀의 전략적 의사결정 과정은 노력과 기술/지식 수준의 영향을 받아 간접적으로 팀 효과성에 기여했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팀 코칭 이론이 실제 R&D 팀에서 어떤 방식으로 작용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확장했으며, 조직에서 팀 리더가 적절한 코칭 행동을 통해 팀 성과를 높이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밝혔습니다.

3. 연구 배경

글로벌 경쟁과 경제적 불확실성이 심화됨에 따라 많은 기업이 팀 기반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며, 이는 생존과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입니다. Mathieu 등(2000)의 연구에 따르면, 팀은 업무 분담, 동료의 행동 모니터링, 다양한 전문성을 통합하는 능력 덕분에 개인보다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팀워크가 보편화되고 그 잠재적 이점이 강조되면서, 팀의 효과적인 운영 방식과 팀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졌습니다. 특히 Hackman과 Wageman(2005)이 제시한 팀 코칭은 팀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조건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새로운 개념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코칭은 전통적으로 개인의 기술 습득과 업무 수행 향상을 돕는 과정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훈련, 운동 코칭, 경영 코칭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습니다. 그러나 팀 코칭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으며, 주로 스포츠 코칭 분야에 한정되어 있었습니다. Hackman과 Wageman(2005)은 팀 코칭을 팀 수준에서 팀 리더가 팀원들과 상호작용하여 팀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돕는 행동으로 정의했습니다.

R&D 팀은 높은 자율성을 갖는 동시에 주요 결정은 팀 리더에 의해 이루어지는 특성이 있어 팀 리더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Manz와 Sims(1987), Ancona(1990)의 연구에 따르면, R&D 팀은 종종 새로운 문제를 다루고 예상치 못한 문제를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팀 리더가 팀 경계를 관리하고 팀원들을 격려하며 업무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능력이 특히 중요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R&D 팀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팀 코칭의 역할이 더욱 강조됩니다.

Hackman과 Wageman은 팀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팀 코칭의 세 가지 주요 기능으로 동기부여, 상담, 교육을 제안했습니다. 이들의 이론은 팀의 프로젝트 수명 주기와 조직적 맥락에서 팀 코칭의 효과를 설명하며, 각 기능이 특정 상황에서 더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음을 제시합니다.

이 연구는 Hackman과 Wageman의 팀 코칭 이론을 대만의 첨단 기술 산업 R&D 팀에 적용하여 팀 코칭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통해 팀 코칭 이론의 실질적 이해를 심화하고, R&D 팀 리더가 효과적인 팀 관리와 코칭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실무적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더 나아가 이 연구는 팀 코칭이라는 개념을 실제 조직 환경에서 검증함으로써, 이론과 실무 사이의 간극을 좁히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특히 첨단 기술 산업의 R&D 팀이라는 특수한 맥락에서 팀 코칭의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분야에서 팀 리더십과 팀 효과성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