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연구 방법
이 연구는 대만의 첨단 기술 산업에 속한 연구개발(R&D) 팀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습니다. 대만은 1991~1996년에 아시아 주요 R&D 허브로 자리 잡기 위해 여러 과학 단지를 설립하는 개발 계획을 추진했으며, 이로 인해 첨단 기술 산업 내 R&D 팀의 중요성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팀들은 반도체, 전기, 가스 및 석유, 컴퓨터, 원자재, 화학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있었습니다.
대만 과학 단지에 위치한 142개의 첨단 기술 기업 중 87개 기업(61%)이 연구 참여에 동의했으며, 총 137개 팀, 763명의 응답자가 참여했습니다. 최종적으로 불완전한 설문을 제외한 133개 팀이 분석에 사용되었습니다. 팀 선정 기준으로는 팀원 3명 이상(팀 리더 포함)으로 구성되어야 하고, 과제가 원천적 혁신 또는 개선 혁신을 포함해야 하며, Hackman과 Wageman이 정의한 팀 구조 요건을 충족해야 했습니다.
데이터 수집은 팀 구성원, 팀 리더, 부서 관리자를 대상으로 각각 다른 설문지를 사용하여 진행되었습니다. 팀 구성원은 팀 코칭 기능과 팀 퍼포먼스 과정을 평가했고, 팀 리더는 팀 퍼포먼스 과정을, 부서 관리자는 팀 효과성을 평가했습니다. 설문지는 우편으로 발송되었으며 응답자들은 익명으로 회신했습니다.
측정 도구로는 Hackman과 Wageman이 개발한 Team Diagnostic Survey를 기반으로 한 팀 코칭 척도가 사용되었으며, 이는 동기부여, 상담, 교육의 3가지 하위 척도로 구성되었습니다. 팀 퍼포먼스 과정은 노력, 전략, 기술 및 지식을 측정했으며, 팀 효과성은 목표 달성, 고객 요구 충족, 시간 준수성을 평가했습니다. 통제 변수로는 팀 크기와 팀 구성원의 팀워크 경험 기간이 사용되었습니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확인적 요인 분석(CFA)과 구조방정식 모델링(SEM)이 활용되었습니다. 각 변수의 내적 일관성과 측정 모델의 적합도를 확인했으며, 평균 내적 일치도는 동기부여 0.98, 상담 0.92, 교육 0.94로 나타났고, 모델 적합도 지수는 χ²(28) = 50.84, CFI = 0.96, GFI = 0.94, RMSEA = 0.08로 확인되었습니다.
5. 핵심 개념
팀 코칭은 팀 리더가 팀원들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여 팀의 집합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도록 돕는 리더십 행동을 의미합니다. Hackman과 Wageman(2005)에 따르면, 이는 팀 과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하고 팀원의 직무 만족과 상호 관계를 향상시켜 팀 효과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팀 코칭은 세 가지 주요 기능으로 구성됩니다. 첫째, 동기부여 코칭은 팀원들의 작업 몰입과 책임감을 높이고 무임승차와 같은 문제를 줄이는 역할을 하며, 팀의 목표에 대한 공동의 헌신을 극대화합니다. 둘째, 상담 코칭은 불확실하거나 변화하는 환경에서 적절한 과업 수행 방법을 고안하고 실행하도록 도우며, 문제 해결 과정에서 유연성과 창의성을 자극합니다. 셋째, 교육 코칭은 팀원의 기술과 지식을 발전시키고 팀에 더 효과적으로 기여하도록 유도하며, 학습 행동과 심리적 안전감을 높여 팀의 역량을 강화합니다.
팀 효과성은 팀이 설정된 과업을 수행하고, 팀원 간의 협력적 사회 과정을 강화하며, 팀 경험이 구성원의 학습과 개인적 복지에 기여하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생산적 성과, 사회적 과정, 인적 복지라는 세 가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집니다.
팀 퍼포먼스 과정은 팀이 과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핵심 요소로, 팀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간 단계입니다. 이는 과업 수행을 위해 투입하는 노력, 과업 수행을 위한 적합한 행동 계획인 전략, 그리고 과업 수행에 기여하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로 구성됩니다.
Hackman과 Wageman의 팀 코칭 이론은 팀 코칭이 어떻게 팀 효과성을 높이는지 설명합니다. 이 이론은 팀 코칭 기능이 팀 퍼포먼스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과정이 팀 효과성에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합니다. 또한 팀 코칭의 효과는 팀 프로젝트의 수명 주기와 조직적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R&D 팀은 높은 자율성을 가지면서도 주요 결정은 팀 리더에 의존하며, 새로운 문제와 불확실한 환경에 직면하고 창의성과 혁신을 요구받는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R&D 팀에서는 팀 리더의 코칭이 팀원의 노력을 이끌어내고, 기술과 지식을 최대화하며, 적절한 전략을 수립하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본 연구는 팀 코칭 이론이 기존의 개인 중심 코칭 모델과 차별화되며, 팀 수준에서의 코칭 효과를 강조합니다. 특히 팀 리더가 팀 퍼포먼스 과정을 통해 팀 효과성을 향상시키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고, 팀 코칭 이론의 실무적 적용 가능성을 탐구함으로써 이론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